센터소개
안전교육 현황 및 주요이슈
- 외부 위탁교육 예산 확보 부담(고비용)
- 집체식 교육방식의 한계(교육 장소, 교육 시간, 강사 및 교재, 비용 등)
- 대학 내 안전교육 지원체계 부재
- 연구분야별 특성화 교육 진행 불가
- 전공특성에 따른 맞춤식 안전교육 제공을 위한 안전교육 콘텐츠 부재
- 교육이수 추적관리 어려움
- 사이버안전교육 운영을 위한 IT인력 부재
- 안전교육 운영 중 Q&A 담당자 부재

전문업체와 협력(아이엠지테크)
- 안전교육 콘텐츠 보유(4개과정 16차시, 40개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30만명이상 이수)
- 호남권/충청권 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중
- 다수의 경험을 보유한 전문인력 투입하여 지속적 기술 및 운영 지원
안전교육 지원체계 구축
- 위탁교육 예산 확보 용이(저비용)
- 안전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
- 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연구활동종사자를 위한 사이버 안전교육 지원
- 안전교육 콘텐츠 제작 및 확보를 통해 맞춤식 안전교육 과정 제공
- 5개 권역내 대학별 사이버 안전교육 지원
구축실적(7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)
- 강원대학교
- 건국대학교
- 경북대학교
- 경희대학교
- 계명대학교
- 광운대학교
- 국립공주대학교
- 국립금오공과대학교
- 군산대학교
- 극지연구소
- 단국대학교
- 대구경북과학기술원
- 명지대학교
-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
- 성균관대학교
- 세종대학교
- 순천향대학교
- 아주대학교
- 연세대학교
- 영남대학교
- 울산과학기술원
- 인하대학교
- 전남대학교
- 전자부품연구원
- 조선대학교
- 충북대학교
- 한국기계연구원
- 한국나노기술원
- 한국전자통신연구원
- 한밭대학교
- 한양대학교
- KIOST 등 약 70여 업체
교육안내
다양한 안전교육 콘텐츠를
확보하여 맞춤형 교육 제공
확보하여 맞춤형 교육 제공
-
교육내용
- 4개과정 16차시
- 연구실안전 및 일반적 위험성(4차시)
- 연구실내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(4차시)
- 화재 및 폭발(4차시)
- 유해화학물질 취급과 관리(4차시)
- 4개년도 국문 56차시, 영문 16차시, 중문16차시 자체제작 콘텐츠 보유

연구특성별 안전교육
-
연구특성
- 생물·방사선
- 화학·가스
- 전기·기계
-
공통과목
-
연구실안전 및 연구실내 위험요인
화재 및 폭발
-
연구실안전 및 연구실내 위험요인
-
연구특성
(선택)-
생물학적 위험과 안전
방사선 안전 -
물질안전보건자료
유해화학물질 -
전기적 위험과 안전
기계적 위험과 안전
-
생물학적 위험과 안전




<그림을 터치하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>
교육절차
교육 진행과정
- 지원센터 관리자
-
기관정보 및
안전관리자 등록 -
안전교육 모니터링
기술지원 및 Q/A대응 - 보고서 출력



- 기관 안전관리자
-
기관정보 관리
(로고 등) - 교육대상자 대량등록
-
홍보
안전교육 모니터링 -
보고서 출력 및
엑셀다운로드



- 연구활동 종사자
- (회원가입) 로그인
-
(선택과목 선택)
안전교육 수강 - 평가
- 이수증 출력





<그림을 터치하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>
-
사이트 URL : http://safetyedu.org
-
지원센터 관리자, 기관 안전관리자, 교육대상자등
사용자 별 주요 업무 및 기능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

협약체결내용 및 교육내용
대학 및 연구기관
- 안전교육 비용 지급
- 안전교육대상자 관리
- 안전교육 홍보
기관별 교육 이수율 공유
지원업체
- 안전교육시스템 제공
- 안전교육콘텐츠 제공
- 기술 및 운영 지원
- 시스템관리

협약체결
- 대학 및 연구기관, 지원업체(아이엠지테크) 간 쌍방 협약 체결
- 문의 : 070-8633-1127

<그림을 터치하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>